단면도의 종류
온 단면도(Full section)
구조물을 절반으로 절단하여 투상도 전체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을 전단면도라 합니다. 절단면은 원칙적으로 투상도에 평행하며 기본 중심선을 지나야 합니다. 그러나 형상에 의하여 기본 중심선을 지나지 않고 절단을 해도 되며, 기본 중심선을 지나는 담면은 절단선을 생략하고 파선의 사용은 가급적 하지 않습니다.
한쪽 단면도(Half section)
중신선을 경계로 상하 혹은 좌우 대칭인 물체를 반쪽만 잘라서 단면을 표시한 것을 반단면도라 합니다. 대칭축의 절단면은 상하 또는 좌우, 어느 쪽으로 절단해도 무방합니다. 단면도의 파선 절단면은 가급적 기입하지 않습니다.
부분 단면도(Local section)
물체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따로 절단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것을 부분 단면도라 합니다. 절단한 곳은 가는 실선의 파단선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 단면도는 작은 범위를 단면으로 표시할 경우, 단면의 경계가 혼동되기 쉬운 경우, 그리고 나사, 키,
핀, 등의 조립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로 총 3가지의 경우에 적용합니다.
회전 단면도(Revolved section)
일반적인 투상법으로는 핸들, 휠(wheel), 리브(rib), 훅(hook) 등의 단면을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축에 수직 한 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을 90도 회전시켜 그린 것을 회전 단면도라 합니다.
조합 단면도(Staggered section)
물체의 절단면을 하나의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지 않고 평행 혹은 수직 하게 여러 개의 평면 즉, 계단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면도를 계단단면이라 하며, 필요한 경우는 단면 보는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와 문자기호를 기입합니다. 해칭은 절단된 면을 하나의 전단면으로 보고 등 간격으로 해칭 하고 절단면의 수직선은 나타내지 않습니다.
다수의 단면도
복잡한 모양의 대상물을 표시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단면도를 그려도 되는데 다수의 단면도는 투상의 방향을 맞추어서 절단선의 연장선상 혹은 주 중심선상에 배치합니다. 그리고 대상물의 단면 모양이 서서히 변화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단면에 의해 표시할 수 있습니다.
절단하지 않는 단면
단면도를 작성할 경우 절단평면이 지나가더라도 단면을 도시하지 않는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첫째는 절단했기 때문에 도면이해에 방해는 주는 경우로 부품의 특정 부분을 절단하지 않는 경우로 부품의 일부분인 리브(rib), 기어(gear)와 풀리(pulley)의 암(arm), 기어의 이, 회전차의 깃 등이 해당됩니다. 둘째는 절단하여도 의미가 없는 부품으로 부품의 전제를 항살 절단하지 않습니다. 축, 스핀들, 볼트, 너트, 와셔, 작은 나사, 리벳, 키, 핀, 밸브 등이 있습니다. 이런 부품은 절단하지 않으며 도면에 해칭도 하지 않습니다.
특수 투상도
일반적 투상법으로 물체를 나타낼 때 물체의 평면이 투상면과 평행한 경우에는 보통 2면도 혹은 3 면도를 사용하면 물체의 실제 길이와 실제 모양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사면을 갖는 물체는 실제 길이와 모양이 변형되어 실제의 길이와 모양을 도시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경사면 부분의 직각 방향으로 보조 투상면을 설정하여 보조투상도를 작성하면 실제 치수와 모양으로 도시할 수 있습니다. 도면 판독이 쉽고, 제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가능한 간략하게 그리는 것도 바람직하고 정확한 투상도법으로 따르지 않고 제도 관습으로 사용하는 간략도 혹은 근사적 도법으로 제도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런 방법으로 그리는 것을 특수투상이라 합니다.
보조 투상도
물체의 평면이 투상면과 평행한 경우에는 실제의 형상과 크기가 나타나지만, 경사면인 경우에는 형상과 크기가 변형되어 나타냅니다. 경사면에 평행한 별도의 투상면을 설치하고 필요한 부분을 투상하면 쉽고 간편하게 구조물의 실제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그려진 투상도를 보조투상도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조투상도는 경사면에 수직 한 방향으로 배치가 되며 지면 관계 등으로 보조투상도를 경사면과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할 수 없을 때에는 그위치로 화살표와 영문자로 표기하고 적당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부분 투상도
물체의 일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 부분만을 부분 투상도를 나타내는 것이 좋으며 투상을 생략한 부분과의 경계를 파단선으로 나타냅니다. 단, 명확할 때에는 파단선을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국부 투상도
대상물의 구멍, 홈 등 한 국부만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을 국부 투상도로서 나타냅니다. 투상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주된 그림에 중심선, 기준선, 치수 보조선 등으로 연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회전 투상도
투상면이 임의의 각도를 가지고 있어 그 실제의 형상을 나타내지 못할 경우에 그 부분을 투상면에 평행한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실제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시하는 투상도를 회전 투상도라 합니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작도에 사용한 선을 그려 넣기도 합니다.
부분 확대도
도면 종 그 크기가 작아서 이해하기 어렵거나 치수 기입이 곤란한 부분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적당한 위치에 필요한 부분을 배척으로 확대시켜 그립니다.
전개 투상도
판재를 구부려서 가공하거나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물의 펼쳐진 모양을 나타내야 하는 경우로서 전개 도면 위쪽 혹은 아래쪽에 위치를 통일해서 전개도라고 기입합니다.
가상 투상도
가상 투상도는 가능한 간단한 도면으로 세밀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투상법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이는 궤도를 나타내는 도면, 인접한 부분을 참고로 나타내는 도면, 가공에 사용하는 공구 및 지그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반복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도형의 생략
-대칭 도형의 생략
도형이 대칭형식의 경우에는 대칭 중심선의 한쪽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반복 도형의 생략
같은 종류, 같은 형상의 리벳 구멍, 볼트 구멍, 관의 구멍 등이 연속적으로 많이 있을 때는 그 양 끝부분 혹은 필요한 부분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모두 생략하여 중심선만 그려서 그 위치를 나타내 줍니다.
-중간 부분의 생략
동일 단면형의 부분, 같은 모양이 규칙적으로 줄어 있는 부분, 긴 테이퍼 등의 부분은 지면을 생략하기 위해 중간 부분을 잘라내어 필요한 부분만 도시할 수 있습니다.
'CNC 공작기계와 기계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수공차와 끼워맞춤 및 기하공차 (0) | 2023.01.11 |
---|---|
치수선의 구성 요소 및 치수 기입의 종류 (0) | 2023.01.10 |
투상도의 작도법과 단면도 (0) | 2023.01.07 |
기계제도와 투상도법의 설명 (0) | 2023.01.06 |
보조 프로그램과 기타 기능과 조작판 스위치 (0) | 2023.01.05 |
댓글